연구업적
• Kim, J., Jun, K., Lee, J., & Kim, J. (2025). The influence of leader humor on subordina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reativity: The role of positive emotion and LMX. Evidence-based HRM: A Global Forum for Empirical Scholarship, 1–16.
• Jun, K., & Lee, J. (2025). Supervisor’s positive humor and follower’s intrinsic motivation: Roles of emotion and relationship quality. Evidence-based HRM: A Global Forum for Empirical Scholarship, 1–16.
• Lee, J., Lee, J., Jun, K., & Kim, K. (2025). Explor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of employee experience and outcomes. Personnel Review.
• Jun, K., Lee, J., & Kim, K. (2025). Mitigating interpersonal deviance through authentic leadership: Do social identification and trust matter? Evidence-based HRM: A Global Forum for Empirical Scholarship.
• 김성준, & 이중학. (2025). 기술은 관리자 역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?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 중심의 문헌 검토와 전망. 조직과 인사관리연구, 49(2), 117–159.
• Kim, K., Jun, K., Song, J., & Lee, J. (2025). Examining humor’s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deviance: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affect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reeableness. Current Psychology, 1–13.
• Kim, J., Jun, K., Lee, J., & Kim, J. (2025). How do followers cope with abusive supervision? Coworker support as a social cure mechanism. Evidence-based HRM: A Global Forum for Empirical Scholarship.
• 이중학, 김광태, & 김성준. (2025). 인공지능과 인지적 다양성: 인사 및 조직관리 시사점 모색. 인사조직연구, 33(1), 1–23.
• Jun, K., Hu, Z., & Lee, J. (2025). Unloc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: The key roles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identification. Management Research Review, 48(1), 57–77.
• 이중학, & 이종민. (2025). 가치와 행동: 현대 한국 직장인의 가치와 조직 행동 (성장, 혁신, 이직의도) 과의 관련성. 인적자원관리연구, 32(1), 43–64.
• Jun, K., Hu, Z., Lee, J., & Lee, J. (2024). Linking authentic leader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: Follower’s hope and collective efficacy. Evidence-based HRM: A Global Forum for Empirical Scholarship.
• Lee, J. (2024). Bridging Bytes and Behaviors: Unraveling the multifaceted interplay of technology and employee dynamics over time through text-mining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.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& Practice (JIStaP), 12(4).
• 홍운기, 김미정, & 이중학. (2024). 누가, 언제 알고리즘 평가 제도를 공정하다고 인식할까? 알고리즘 기반 평가 제도에 대한 직원의 공정성 인식 연구. 기업경영연구, 51–75.
• Jun, K., Lee, J., & Lee, J. (2024). Unraveling the dynamics of employee retention in Asian organizations: Exploring the interplay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, affective commitment, and trust in leadership. Asian Business & Management, 23(3), 484–510.
• Jun, K., & Lee, J. (2024). Enhancing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rough leader humor: The roles of positive affect and organizational justice. Current Psychology, 43(23), 1–16.
• Lee, J., Chae, C., Lee, J. M., & Fontinha, R. (2024).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: A bibliometric review over the past 25 years (1995–2019). Journal of Global Mobility, 12(4).
• Jun, K., & Lee, J. (2024). How does abusive supervision impair follower’s intrinsic motivation? Testing roles of positive affect and leader humor expression. Current Psychology, 43(10), 9323–9335.
• 전기호 & 이중학. (2024). Linking authentic leadership with follower outcomes: Mediating roles of follower’s hop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. 무역연구, 20(1), 17–36.
• 김지영, 이중학, & 장문경. (2024). Employee well-being, social networks, and the Great Resignation: Exploring paths to retention. 인적자원관리연구, 31(5), 1–24.
• 고세걸, & 이중학. (2024). 기업 소셜 미디어 사용이 구성원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: 지식관리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. 인적자원관리연구, 31(5), 45–63.
• 이상진, 김지영, 강지상, & 이중학. (2024).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People Analytics 연구 및 실무 필요 역량 연구. 인적자원관리연구, 31(3), 33–54.
• Han, S. J., Yim, J. H., Oh, J., Kwon, K., & Lee, J. (2023). Why do employees welcome or refuse shared leadership?: A qualitative exploration through force‐field analysis.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, 34(4), 413–435.
• Hahn, H. J., Lee, J., & Kim, S. (2023). South Korea: Selecting and developing senior leaders at Company A. In The Global Human Resource Management Casebook (pp. 236–246).
• Jun, K., Hu, Z., & Lee, J. (2023). Examining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follower hop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: The mediating role of follower identification. Behavioral Sciences, 13(7), 572.
• 이중학, 정진우, & 송태경. (2023). 일반인공지능 시대의 채용을 위한 연구: 증강지능(Augmented Intelligence)을 중심으로. 조직과 인사관리연구, 47(2), 113–137.
• Jun, K., & Lee, J. (2023).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followers’ innovative behavior: Roles of commitment to change and organizational support for creativity. Behavioral Sciences, 13(4), 320.
• 김지영, 김지은, & 이중학. (2023). 디지털 전환 시대의 윤리경영: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중심으로.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, 9(3), 117–127.
• 이중학. (2023). 데이터과학과 인사조직의 융합: 피플 애널리틱스 튜토리얼.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, 9(3), 105–116.
• Lee, J., Kim, Y., & Kang, J. (2023). Prepar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: A case and empirical findings of South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. Journal of Global Business & Trade, 19(1), 57–74.
• 이종민, & 이중학. (2023). 무엇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조직을 만드는가?: 밸류체인 디지털화와 디지털 인재 및 혁신지원 풍토를 중심으로. 인적자원관리연구, 30(3), 45–61.
• Lee, J., Kim, S. B., Kim, Y., & Kim, S. (2023). Predictive analytics for efficient decision making in personnel selection.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, 22(1), 106–122.
• 이중학, & 김지영. (2022). 한국 다국적 기업의 디지털 전환 및 데이터 분석 역량 준비도를 높이기 위한 최고 경영층 인식 연구. 무역연구, 18(6), 237–250.
• Lee, J. (2022). Impact of staff localization on turnover: The role of a foreign subsidiary CEO. Behavioral Sciences, 12(10), 402.
• 이중학. (2022). People Analytics 사례: 성과 예측 모델 및 효과적 의사결정 시점 연구. 경영과 사례연구, 41–59.
• Lee, J. (2022). The role of grit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during a pandemic. Frontiers in Psychology, 13, 929517.
• 김성준, & 이중학. (2022). 조직 및 인사 연구에서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활용. 조직과 인사관리연구, 46(2), 85–122.
• 김성준, 이중학, & 임창현. (2022). 리더의 불안은 어떻게 자신과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? 방어기제와 일상 리더십 행동을 중심으로. 인사조직연구, 30(2), 95–127.
• 어승수, 이중학, & 김영상. (2022). 간접차별의 국내 채용 맥락에서의 검증. 조직과 인사관리연구, 46(1), 83–103.
• Kim, S. B., & Lee, J. (2022). Approaches to a dilemma during the pandemic: Sequential successes and simultaneous successes. CHANCE, 35(1), 34–37.
• 김지영, & 이중학. (2022). 데이터로 보는 인재 유지 전략: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. 인적자원관리연구, 29(5), 1–23.
• 김성준, & 이중학, 임창현. (2021). 리더의 불안, 리더십 연구에서 어떻게 다룰 것인가? 문헌 검토와 연구 제언. 리더십연구, 12(4), 45–79.
• 이중학, 김성준, & 김영상, 성상현. (2021). 비윤리적 행동으로서의 지배성향 진단 개발 및 타당화: 한국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. 윤리경영연구, 34(2), 1–19.
• 이중학, 김성준, & 채충일. (2021).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COVID-19 시대의 위기 리더십 분석 및 제안: People Analytics 사례. 기업경영연구, 28(6), 15–34.
• Kim, S. B., & Lee, J. (2021). Regression-based mediation analysis: A formula for the bias due to an unobserved precursor variable.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, 50(4), 1058–1076.
• 이중학. (2021). With COVID-19 시대의 필요 역량: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을 중심으로. 경영과 사례연구, 87–113.
• Lee, J., Kim, S., & Kim, Y. (2021). Diversity climate on turnover intentions: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sonal diversity value and affective commitment. Personnel Review, 50(5), 1397–1408.
• 김성준, & 이중학, 채충일. (2021). 리더십 연구의 정신역동적 접근 모색. 리더십연구, 12(2), 3–42.
• 김성준, & 이중학, 채충일. (2021). 꼰대, 한국기업 조직문화 차원의 탐구. 조직과 인사관리연구, 45(2), 1–35.
• Yoon, S. W., Chae, C., Kim, S., Lee, J., & Jo, Y. (2020). Human resource analytics in South Korea: Transforming the organization and industry.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South Korea: Theory and Cases (pp. 159–180).
• 이중학, 송지훈, 전유진, & 송현정. (2020). HR Analytics 연구 동향 및 실무적 활용을 위한 제언: Bibliometrics 분석 및 HR 실무진의 의견을 중심으로. 경영과 사례연구, 83–101.
• 김성준, & 이중학, 채충일. (2020). 인사(HR)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. KISDI AI Outlook, 2020(3), 31–49.
• 이중학, 박지원, 이민주, & 송지훈. (2020). 조직 구성원의 고령 인력에 대한 포용 인식과 이직의도 연구: 정서적 몰입 및 개인 다양성 가치의 역할을 중심으로. 기업경영연구, 27(6), 55–72.
• 이중학, 송지훈, & 채충일. (2020). HR Analytics 연구 및 활용에서의 가설 검정과 예측의 차이점: Assessment Center 사례를 중심으로. 조직과 인사관리연구, 44(2), 103–123.
• 이중학, & 송지훈. (2020). HR 애널리틱스 연구 및 실무에서의 베이지안 통계 활용: 퇴임 임원의 데이터를 중심으로. 조직과 인사관리연구, 44(3), 83–104.
• 이중학, & 성상현. (2019). 조직의 다양성 풍토에 대한 인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. 조직과 인사관리연구, 43(2), 67–95.
• Lee, J., Kim, S. B., Chae, C., & Lee, J. (2019). Career growth opportunity on turnover intention: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.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Studies, 9(4).
• 이중학, & 강경용, 성상현. (2018). 롯데의 여성친화조직 전환 노력: Ely & Thomas의 틀을 적용한 사례 분석. Korea Business Review, 53–70.
• 이중학, & 이영면. (2018).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필요 역량. 경영과 사례연구, 41(1), 109–126.
• 이중학, & 성상현. (2018). 개인 다양성 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: 다양성 풍토 인식, 정서적 몰입 및 혁신행동의도의 관계. 한국인사관리학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