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찰경영최고위과정(1년 과정) 개설강좌 [2개 학기 12개 분야 28강좌 2답사 2특활 1순례]
분야 |
강좌명 |
분야 |
강좌명 |
경영관리(6) |
사찰경영의 정의와 경영학 |
방재관리(1) |
사찰방재와 재난관리의 실제 |
자원관리법(法)이해 |
(1) |
사찰의 자원관리와 활용(&산림관계법) |
사찰의 경영관리와 회계 |
사찰경영의 실제와 연구지표 |
조경관리(1) |
사찰재원 확보전략과 사찰정원 |
비즈니스모델로 본 사찰경영 |
사회복지(1) |
불교사회복지와 사찰경영 |
기부활성화와 국고보조금 관리방안 |
법(法)이해(3) |
사찰의 세법과 세무관리 |
불교사회경제와 사찰경영 |
사찰과 건축법의 이해 |
종무행정(1) |
단위사찰의 종무행정 |
사찰과 자연공원법의 상보성 |
신도관리(2) |
신도조직화와 활성화 방안 |
IT정보(1) |
사찰 정보화의 필요성과 방법론 |
코칭과 맞춤형 신도상담 |
특별강의(3) |
이젠 사찰도 경영이다 |
포교마케팅(6) |
법회운영과 설법교화 |
사찰경영의 모범과 실제 |
템플스테이의 운영과 관리 |
이웃종교의 경영과 삶 |
사찰성보를 활용한 포교방안 |
현장답사(2) |
국내사찰 경영답사 |
불교의 사회성과 사찰경영 |
이웃종교 경영답사 |
불교콘텐츠의 활용과 문화포교 |
특목활동(2) |
단합수련회(1,2학기) |
한국사회의 종교지형과 사찰경영 |
특별순례(1) |
특별성지순례 |
리더십(2) |
대중교화와 리더십의 관계성 |
입학식(1학기 개강) / 수료식(2학기 종강) |
불교와 경영리더십의 실제 |
※상기 커리큘럼은 초빙강사의 사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.
|